부동산 마스터

용도지역 / 건폐율 / 용적률 확인하는 방법 (feat.평택 고덕 신도시)

드류 2022. 4. 20. 21:45

부동산 입문 책을 읽으면서 용도지역, 건폐율, 용적률에 대한 개념을 배웠다.

 

하나하나 부동산 용어에 눈을 뜨고 있는데, 전화가 걸려왔다.

 

평택 고덕 신도시에 있는 지식산업센터를 분양 중이라는 홍보 전화였다.

 

투자 가치를 떠나 애초에 시드머니가 부족한 나는 실습이나 해보자는 마음으로 조회해본다.


 

목차

  1. 용어 설명
  2. 용도지역 조회 방법
  3. 건폐율 및 용적률 조회 방법

 

1. 용어 설명

   1) 용도 지역 : 토지 이용의 가장 기본적인 구분으로, 합리적/경제적으로 국토를 이용하기 위해 정부에서 미리 지정해 둔 토지의 용도를 말한다.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나뉘는데, 부동산을 알아볼 때는 도시지역을 주로 보면 된다. 도시지역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 된다.

   2) 건폐율 : 대지 면적에 대한 건물 면적의 비율. 대지 안에 최소한의 공지를 확보함으로써 건축물의 과밀을 방지하여 일조, 채광, 통풍 등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화재 등 기타 재해 발생 시 연소의 차단이나 소화, 피난 등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3) 용적률 : 대지 면적에 대한 건축물 각 층의 바닥 면적의 비율(지하 층 제외). 용적률이 클 수록 건물을 높게 지을 수 있다.

 

※ 구체적인 개별 토지의 건폐율, 용적률은 그 토지가 속하는 해당 지자체의 도시계획조례로 정한다.

 

 

 

2. 용도지역 조회 방법

국토교통부의 토지e음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하다.

http://www.eum.go.kr/

 

http://www.eum.go.kr/

 

www.eum.go.kr

메인 페이지에서 주소를 입력한다.

해당 지역의 용도지역 뿐 아니라 공시지가 까지 조회할 수 있다.

 

고덕 신도시의 분양 홍보 중인  그 지역은 준주거지역으로 확인!

 

 

 

3. 건폐율 및 용적률 조회 방법

해당 지자체의 도시계획조례는 국가법령정보센터 에서 열람할 수 있다.

https://www.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 @ # $ % ^ & * ( ) Bksp ㅃ ㅉ ㄸ ㄲ ㅆ ㅛ ㅕ ㅑ ㅒ ㅖ Shift ㅁ ㄴ ㅇ ㄹ ㅎ ㅗ ㅓ ㅏ ㅣ ㅋ ㅌ ㅊ ㅍ ㅠ ㅜ ㅡ 띄어쓰기 검색

www.law.go.kr

카테고리를 '자치법규'로 설정하고 해당 지역명 + 도시계획조례 를 검색한다.

 

카테고리를 설정하지 않고 그냥 검색하면 안나온다.

 

 

55조 쯤에 가면 건폐율과 용적률 항목이 나온다.

 

평택시의 도시계획 조례에선 건폐율은 제 56조, 용적률은 제 61조에 명시되어 있다.

준주거지역의 건폐율은 70%, 용적률은 500%로 정하고 있다.

 

건폐율 70% 정도면 건물 너비의 3분의 1 정도는 공지로 확보된 거니까 괜찮은 환경일 것 같다.

 

홍보 문구에서 지상 10층까지 있다고 했는데, 용적률 500%을 다 채운걸까 궁금하다.

 


실습 끝!

 

책으로만 읽는 것보다 이렇게 알아보니까 더 흥미롭다.

 

무엇이든지 실천이 중요한 것 같다.